본문 바로가기

Infrastructure/VMware

(4)
[vSphere] 가상화 핵심 기술 (2) 네트워크 가상화 구성 개요 가상머신 : 가상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통해서 액세스를 요구 가상 NIC : VMKernel과 가상머신 사이에 위치하여 네트워크 패킷을 전송하거나 수신하는 부분을 담당 (IP 및 MAC 주소 포함) 가상 스위치 : 네트워크 I/O의 에뮬레이션 담당(물리적 네트워크에 가상 머신 연결), 가상머신 및 Kernel용의 포트 그룹 설정 (STP설정 필요없음) 포트 그룹 : VMKernel이나 VM들에 특화된 서비스를 제공 (하나의 VMKernel 포트나 가상머신 포트 그룹 포함) VMKernel 포트 그룹 : 하이퍼바이저 관리 트래픽, vMotion, HA, FT, iSCSI 스토리지 연결, VSAN, NAS 연결 등의 다양한 구성을 만드는 그룹 VM 포트 그룹 : 가상머신들이 동일한 ..
[vSphere] 가상화 핵심 기술 (1) CPU 가상화 물리 서버에 존재하는 복수의 논리CPU의 부하를 동적으로 로드밸런싱 (가상 CPU 할당) 가상머신이 사용하는 CPU리소스를 동적으로 분배하여 특정 CPU에 부하가 집중되는 것을 방지 수십 밀리 세컨드 단위로 전체의 CPU를 체크하여 가상머신의 워크로드를 이동 메모리 가상화 효율적인 메모리 관리 투명한 페이지 공유 : 게스트OS의 시스템 영역 등, 가상머신 사이에 동일한 정적 페이지를 공유 메모리 벌루닝 : 동작을 멈추고 있는 상태의 가상머신이 보유하고 있는 메모리 영역을 회수하여, 다른 가상머신에게 할당해주는 기능 시스템 보호 메모리 압축 : 메모리 데이터를 압축하여 VMKerne 스왑을 줄이고 퍼포먼스 저하를 방지하는 기능 VMKernel 스왑 : 물리 메모리가 부족한 경우, VMkern..
[vSphere] vSphere, ESXi, vCenter 개념 및 차이점 vSphere란? ESXi와 vSphere을 포함해 이를 지원하는 여러 소프트웨어들을 묶어 패키지 형식으로 만든 것. ESXi란? 하이퍼바이저(Hypervisor)로서 가상화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물리적 서버위에 설치되는 OS라고 볼 수 있다. 생성되는 VM 및 게스트 OS가 ESXi위에 올라간다. 특징 : 서버 한 대에 있는 한정적인 자원을 분배하여 효과적으로 사용 vCenter란? 하이퍼바이저가 탑제된 물리적 서버를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게 해주는 솔루션. 주요 기능 vMotion : 호스트 위치 혹은 데이터스토어 위치 변경에 따른 마이그레이션 제공 vSphere DRS : 클러스터링된 ESXi 호스트의 리소스를 균형있게 분배하는 기능 vSphere FT : 주 가상 머신을 미러링하는 가상 머신의 라..
서버 가상화란? 서버 가상화란 '한 대의 물리적인 서버에 여러 대의 논리적인 가상머신을 작동시키는 것'을 말한다. => 게스트 운영체제가 하이퍼바이저라고 하는 가상화 레이어 위에서 구동하는 방식 특징 격리: 가상머신을 물리 하드웨어로부터 완전히 분리할 수 있다. 캡슐화: 한 대의 물리적 서버안에서 각기 고유한 역할을 수행한다. 하드웨어 비의존성: 물리적인 서버에 종속되지 않는다. 하이퍼바이저란? : 호스트 컴퓨터에서 다수의 운영체제를 동시에 실행하기 위한 논리적 플랫폼 (=Virtual Machine Monitor,VMM) Type1, 하이퍼바이저 방식(bare-metal 방식) : 서버에 하이퍼바이저 제품(EXSi Server...)을 직접 설치하는 방식 Type2, 호스티드 방식 : 기존에 설치된 OS(window...